![](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2920987/skin/images/logo.jpg)
저널논문의 제목은 1~2줄 정도로 짧지만 그 논문의 전체를 대표하므로, 제목 선정은 저널논문 작성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실험을 계획할 때(Design of Experiment), 연구 제목(가제)을 정해두고 시작합니다. 하지만, 처음 정해진 제목(가제)은 실험을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면서 언제든지 수정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처음 정한 제목을 굳이 끝까지 유지할 필요는 없습니다. 한 예로, 실험을 계획하고 연구를 진행하면 관련 이론에 근거로 어떠한 결과가 도출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려하지 못한 요인들에 의해 예상밖의 결과가 도출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는 연구 중간에 예상치 못한 발견을 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사전에 선정한 가제에 얽..
1. 저널논문의 구성 저널논문이 일반적으로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널에 따라 약간은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저널논문은 Title(제목), Abstract(초록), Introduction(서론), Materials and Method(재료 및 방법), Results(결과), Discussions(고찰), Conclusions(결론), Acknowledgements(사사), References(참고문헌)으로 구성이 됩니다. 만약, 논문에 필요한 이론(theory)이 있다면 preliminary background 또는 theory 관련된 부분을 서론과 별개로 분리해서 포함하기도 합니다. 저널에 따라 Results와 discussions을 Results and discussion..
학위 과정 중에 저널논문 관련 화제가 있으면 꼭 언급되는 용어가 JCR, SCI, SCIE, impact factor(IF)등이 있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이러한 용어들이 낯설지만 계속 듣다 보면, “SCI(E)에 등재된 저널들은 모두 우수하지만, SCI에 등재된 저널이 SCIE급 저널보다 조금 더 우수하고, Impact factor가 높으면 좋은 저널” 정도 수준으로 이해를 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러한 이해가 틀리다는 것은 아니지만 전부 옳다는 것도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SCI는 SCIE보다 우수한 저널로 평가 받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SCIE논문이 SCI논문보다 impact factor가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각각의 용어에 대해서 설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Journal Cita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