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학위 과정 중에 저널논문 관련 화제가 있으면 꼭 언급되는 용어가 JCR, SCI, SCIE, impact factor(IF)등이 있을 것입니다. 처음에는 이러한 용어들이 낯설지만 계속 듣다 보면, “SCI(E)에 등재된 저널들은 모두 우수하지만, SCI에 등재된 저널이 SCIE급 저널보다 조금 더 우수하고, Impact factor가 높으면 좋은 저널정도 수준으로 이해를 하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러한 이해가 틀리다는 것은 아니지만 전부 옳다는 것도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SCISCIE보다 우수한 저널로 평가 받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SCIE논문이 SCI논문보다 impact factor가 높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럼 각각의 용어에 대해서 설명을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Journal Citation Reports(JCR), Impact factor(IF)

JCR Institute of Scientific Information(ISI) 회사에서 제공하는 저널에 대한 정보입니다. ISI 회사에서 전세계의 저널에 대한 우수성을 IF로 정량화하여 저널의 수준을 순위(ranking)로 정했습니다. IF의 산정 방법은 최근 2 동안 해당 저널에 게재(publish)된 논문들이 인용된 숫자최근 2년동안 게재된 논문의 숫자를 나누어서 정량화 합니다. 예를 들어,


-      A라는 저널에 최근 2동안 100개의 논문이 게재되고 200번 인용이 되었다면

-     IF (Impact Factor) = 인용회수(최근 2년) / 게재된 논문 수(최근 2년) = 200/100 = 2


구글에 Journal citation reports(JCR)를 검색하여 해당 웹사이트를 방문하면 다양한 카테고리(category)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무데서나 확인할 수는 없고, JCR과 구독 계약을 맺은 대학, 연구소 또는 특정 기관에서만 가능합니다. 이러한 카테고리는 유사한 연구분야별로 저널들을 묶어서 카테고리화 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JCR 상위 몇 %를 언급할 때는 자신의 게재한 논문의 저널이 속한 카테고리에서 IF를 기준으로 상위 몇 %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하면 됩니다. 제가 개제한 경험이 있는 저널인 Materials characterization을 예를 들면


-      저널 : Materials characterization

       i.         Category 1: Materials Science Multidisciplinary(89/284, 상위 31%)

     ii.         Category 2: Metallurgy & Metallurgical Engineering(10/75, 상위 13%)

    iii.         Category 3: Materials Science Characterization & Testing(3/33, 상위 9%)


언급한 것처럼 하나의 저널이 다수의 카테고리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해당 저널에 포함되는 주제와 내용이 다양할 수 있으므로 여러 카테고리에 포함되는 것입니다. Citation index는 게재된 논문을 인용 하였을 때 산정(count)하게 됩니다. 우리가 서론 부분에 기존 연구에 대한 문헌조사를 진행하면서 참고문헌을 추가하게 되면 인용한 논문들의 citation index가 산입됩니다. IF는 매년 바뀌기 때문에 JCR 상위 %또한 매년 조금씩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 2년동안 개제된 논문 수와 citation index를 활용하기 때문에 순위가 매년 바뀌게 됩니다. 그러므로, 자신의 논문을 실적으로 제출할 때 JCR 발행년도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기관에 따라서 제출하는 실적의 JCR 기준을 특정 년도로 명시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자신의 논문이 게재된 년도의 JCR을 따르는 것이 합당합니다. 이러한 JCR 연도 기준이 중요한 이유는, 논문을 제출할 당시에는 JCR 의 상위 %에 속해 있었지만, 게재되는 년도에는 상대적으로 낮은 %에 속할 수 있고, 때로는 SCI에서 탈락 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실제 예로, Archives of metallurgy 저널은 2015년의 경우 IF가 존재하였지만, 2016JCR에서 IF를 게재할 당시 self citation 등의 문제로 JCR에서 탈락 하였습니다. 그러므로 게재하는 논문이 속한 저널의 JCR 기준을 잘 파악하고 있어야합니다. 마지막으로, JCR은 항상 1년 늦은 기준으로 발행이 됩니다. 예를 들어 2018년의 최신 JCR2017년이 되는 것입니다. 이는 당연한 것이 2018년에 게재된 논문의 숫자나 citation index를 계산할 수 없고, 2016년과 2017년에 대한 논문의 정보를 바탕으로 JCR이 계산되기 때문입니다. 다음은 SCISCIE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Science citation index(SCI), Science citation index expanded(SCIE)

이전 글에서 간단하게 언급하였지만, Science citation index SCIISI에서 다양한 기준을 고려해서 상위 약 15% 이내에 속하는 저널들을 선정한 것입니다. SCI 선정 기준은 출판시기, 편집기준, 피어리뷰(peer review)의 공정성 및 엄격성 등 다양한 항목들의 평가를 포함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중요한 것은 SCI급으로 선정된 논문은 다양한 평가 기준을 충족 시킨 우수한 저널이라는 것입니다. 여기서 SCI급 저널이라 함은 SCI, SCIE, SSCI, A&HCI가 있는데 본 글에서는 공학논문에서 주로 언급하는 SCISCIE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JCR의 동일 범주내에서 SCI 저널은 SCIE 보다 IF가 높습니다. SCISCIE의 부분집합으로 SCI 저널이면 SCIE 저널에도 포함 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SCI에 포함된 저널이 SCIE 보다 우수하다고 생각하실 수 있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닙니다. 일반적으로 고전 역학 분야의 저널은 IF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지만 연구자들 사이에서 우수한 저널로 평가 받는 경우도 다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최근까지도 상당히 인기있는 연구 분야인 bio 관련 분야의 경우, 많은 연구가 진행이 되고 있고 투고되는 논문 수나 인용되는 논문의 수가 많기 때문에 IF는 높지만 전통 있는 고전 역학 분야의 저널보다 상대적으로 그 역사가 짧은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최근에는 전체 저널을 단순히 IF 만으로 정량화 하기 보다는 저널이 속해 있는 범주 내에서 순위, JCR 동일 범주 내의 순위로 평가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대학의 교수로 지원하게 되는 경우 JCR 동일 범주 내의 순위에 따라서 가중치가 다르게 적용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IF가 높으면 당연히 좋겠지만, 단순히 IF의 수치보다 자신이 속해있는 JCR 범주 내에서 순위를 더 중요하게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완성된 논문을 저널에 투고하실 때 자신이 속한 JCR 범주 내에서 가능하면 높은 순위에 속한 저널에 제출하시기를 개인적으로 추천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9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