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2920987/skin/images/logo.jpg)
대학원 연구실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 연구실 실적이 있습니다. 학위과정에서 제일 중요한 연구실적은 저널논문입니다. 연구실에서 매년 출판되는 논문 수를 알아보면 연구실의 역량을 대략적으로 파악 할 수 있습니다. 연구실 실적이 중요하다는 의견에 반대하시는 분도 분명 있을 것입니다. 저도 학위를 할 때 타 연구실 선후배님들로부터 “자신의 연구실의 연구 주제 특성상 논문이 많이 나오지 않는다”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물론 그럴 수도 있지만 좀 더 넓은 시야로 본다면, 박사 학위를 받고 취업을 위해 지원을 할 때 지원한 연구소나 대학에 자신의 전공 분야는 논문이 잘 나오지 않는다고 어필 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자신의 전공 분야에 지원하는 지원자들이 모두 논문 실적이 적다면 괜찮겠지만, 실제 지원을 해보면 전공 분..
연구실 분위기의 상당 부분은 지도교수의 연구실 정책과 관련이 있습니다. 지도 교수가 올바른 가치관과 명확한 정책을 가지고 계시다면 연구실 분위기도 좋을 것입니다. 학생들은 대략 5년마다 계속 바뀌지만, 지도 교수는 바뀌지 않기 때문에 지도 교수님 성향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연구실 학생들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닙니다. 지도 교수의 영향력이 가장 크지만 문제가 있는 구성원이 있다면 연구실 분위기를 흐릴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지도 교수와 연구실 구성원 모두를 고려해서 연구실을 선택해야합니다. 연구실 분위기를 알아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대학원 지원 전에 반드시 연구참여나 인턴쉽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통해서 내부 구성원으로 생활해 보지 않는다면 절대 연구실 분위기(속사정)을 알 수가..
이전에 대학원생을 위한 저널논문 작성법에 대해서 글을 쓰다가 대학원에 진학하고 싶은 학부생들에게 지도교수 및 연구실 선택 시 고려 사항에 대해서 알려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학부 졸업 후 대학원 진학을 목표로 한다면 지도 교수 및 연구실 선택으로 고민을 하게 됩니다. 자대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학과 선배들로부터 조언을 얻을 수 있고, 관심있는 교수님의 연구실 홈페이지에서 연구실의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타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하는 경우는 연구실 홈페이지를 통해서 정보를 얻을 것입니다. 대학원에 진학하고자 할 때 이러한 정보로 충분할까요? 당연히 아닙니다. 지원자가 적극적이고 부지런히 노력한다면 더욱 중요한 정보들을 얻을 수 있습니다. 연구실(지도교수) 선택 시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