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2920987/skin/images/logo.jpg)
지금까지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생들이 지도교수 및 연구실 선택 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저의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설명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앞서 언급한 내용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결론은 간단합니다. 방학기간을 활용해서 지원하고자하는 연구실에 연구참여 혹은 인턴쉽을 신청하십시오. 연구실 교수님께 메일을 보내면 연구 참여 및 인턴쉽이 가능한지 회신해 주십니다. 자신의 연구실에 관심이 있고 진학 하기 전에 연구실을 경험해보고 싶어하는데 이를 마다할 교수님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연구실 밖의 선배 및 주변사람들 즉 제3자를 통한 정보로 자신의 미래를 선택하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큽니다. 반드시 본인이 직접 연구실을 경험해 보고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방학 2달동안이 안된다면 2주~1달만이라도 반드시 본인이 경험하고 선택해야합니다. 학부 3학년부터 연구참여를 경험한다면 약 3번의 연구참여 및 인턴을 경험해 볼 수 있습니다. 한 두번 정도 한 연구실에서 연구 참여를 경험하면 주변 연구실의 분위기도 대략 파악이 가능합니다. 학부생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대학원 연구실의 일원으로 타 연구실의 관찰하는 것은 다르기 때문입니다.
1. 연구참여 신청하는 방법
첫번째는 학과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이 있는지 확인해 봐야합니다. 학과 커리큘럼에 연구참여 프로그램이 있는 학교가 많이 있으므로 학과 사무실이나 3~4학년 교과과정을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자대 대학원을 진학하려고 하는 경우는 굳이 프로그램이 없더라도 해당 연구실의 교수님께 직접 컨택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타대학으로 연구참여 및 인턴쉽 프로그램을 신청하는 경우입니다. 지원하고자하는 학교에 인턴쉽 프로그램을 공개적으로 모집한다면 좋겠지만, 이러한 경우는 해외 학생 인턴쉽을 모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많지 않습니다. 그래서, 자신이 관심있는 교수님께 직접 메일을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교수님께 직접 메일 보내기가 부담스럽다면, 연구실 학생들에게 이메일을 보내서 먼저 사전 정보를 얻습니다. 학생들에게 문의를 하면 교수님보다 편하기는 하지만 행정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교수님보다 영향력이 부족한 부분이 많을 것입니다. 교수님은 학과에 연락해서 곧바로 가능여부가 파악이 가능하지만 대학원생 같은 경우는 그런 부분이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과감하게 교수님께 메일 보내기를 추천 드립니다. 만약 메일을 여러 번 보냈는데, 답변이 없으시다면 교수님이 지원자에게 관심이 없거나 너무 바빠서 지원자의 메일을 읽을 시간이 없으신 것이기 때문에 제 생각에는 지원할 필요가 없어 보입니다. 대신에 일면식도 없는 지원자가 메일을 보내는 것이기 때문에 최대한 성의 있게 자신의 모든 정보를 담아서 보내야합니다. 메일에 성의가 없어서 무시되는 것은 지원자의 책임입니다.
2. 연구참여 시 확인할 정보
앞서 연구실 선택 시 어떠한 정보를 파악해야 하는지 설명하였습니다. 그러면 방학을 기준으로 약 2달 정도 연구참여 및 인턴을 한다고 하였을 파악해야 하는 정보를 다시 한번 정리하는 차원에서 요약해 보겠습니다.
① 지도 교수님의 인격(인성)
연구실 지도 교수의 인격은 다른 어떤 것보다 중요한 부분입니다. 지도 교수가 학생들을 소중한 인격체로 대해 주는지 그리고 단순히 자신의 연구 업적을 위해서 학생들을 이용하는지 진정 학생들을 교육해서 훌륭한 연구자를 배출하려고 하는지 파악 해야합니다. 학생들간의 교류를 통해서 학위 포기자가 얼마나 많은지 연구실 홈커밍 등을 했던 정보를 통해서 졸업생 참여도는 어떠한지 등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② 연구실 분위기
지도 교수와 학생들간의 경쟁을 유발해서 구성원들 간에 가족 같은 분위기가 아니라 경쟁자와 같은 관계인지, 연구실에 술자리가 많아서 원하지 않는 자리에 참석 해야하는지를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지도교수가 학생들을 방임해서 낮과 밤의 구분없이 연구실 생활을 하는지 등을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③ 연구실 실적(저널논문, 수상실적, 연구과제)
연구실에서 저널 논문을 많이 출판하는지 파악합니다. 기준은 대학원과정 3년차 이상 학생들 기준으로 최소 1년에 1편 이상이어야 합니다. 수상 실적이 많은 연구실인지 파악합니다. 수상실적은 기업에서 수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해당 분야의 산업체에서의 필요성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연구실 과제 현황에 대해서 파악합니다. 과제는 학생들의 인건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공학 계열의 경우 순수과학과 다르게 연구비가 없으면 성과를 내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그러므로 과제가 충분히 있는지 파악할 필요가 있습니다.
④ 전공분야(기본에 충실한 연구실)
최신의 연구 분야일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전공의 기본에 충실한 연구실인지 파악 해야합니다. 연구 실적만을 위하여 얕고 넓은 연구 분야를 강조하는 연구실보다 전공분야의 기본기를 강조하는 연구실을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⑤ 연구실 졸업생들의 학위 기간
연구실 졸업생들의 학위 기간을 알아봅니다. 연구실 구성원들에게도 학위를 몇 년만에 받을지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모두 알고 있을 것입니다. 연구실 구성원에게 물어보면 간단하게 알 수 있습니다.
⑥ 졸업생(Alumni) 동향
연구실 출신 졸업생들의 현재 근무처를 홈페이지나 연구실 구성원들을 통해서 알아봅니다.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선배들이 좋은 곳으로 취업하는 연구실에서 후배들도 좋은 곳으로 취업하는 선 순환 구조를 이룹니다. 졸업생이 없는 경우 고년차 대학원생들의 저널논문 실적을 알아봅니다. 마지막으로, 졸업생들이 연구실 행사에 참여율이 높은지 확인합니다. 졸업생 참여율이 높다는 것은 졸업 후에도 지도 교수님 및 연구실 후배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연구실 분위기가 좋음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
⑦ 연구실 출퇴근 시간
출퇴근 시간이 명확한 연구실을 선택하십시오. 잘못 선택하면 열정페이를 요구하는 연구실에서 학위과정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주말과 휴가가 보장된 연구실을 선택하십시오. 연구만큼 중요하 것이 휴식입니다.
⑧ 연구실 급여
장학금 및 급여가 높은 연구실을 선택하십시오. 경제적인 부분은 삶의 질과 직결됩니다. 급여가 높으면 생활적인 측면에서도 만족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과제비도 많을 확률이 높기 때문에 연구를 하는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⑨ 해외학회 기회 여부
학위과정동안 1년에 최소 한번 정도는 전 구성원이 해외학회에 참석해서 발표도 하고 견문을 넓히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기회를 제공해주는 교수님을 선택하십시오. 과제비의 부담은 있겠지만 학생들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서 실력을 향상 시킬 기회를 보장해 주는 지도 교수를 선택하십시오.
[지도교수 선택 시 고려사항 9] : 해외학회 기회 여부 (0) | 2018.09.25 |
---|---|
[지도교수 선택 시 고려사항 8] : 연구실 급여 (2) | 2018.09.24 |
[지도교수 선택 시 고려사항 7] : 연구실 출퇴근 시간 (0) | 2018.09.23 |
[지도교수 선택 시 고려사항 6] : 졸업생(Alumni) 정보 (1) | 2018.09.22 |
[지도교수 선택 시 고려사항 5] : 연구실 졸업생 학위 기간 (0) | 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