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ck change” 기능은 작성한 논문을 공동 저자 및 교신 저자와 의견을 주고 받을 때 반드시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저널 논문의 초안을 완성하고 나면, 공동 저자 및 교신 저자(지도교수)와 논문을 주고 받으며 서로 의견을 교환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특히 의견을 교환하는 공동 저자들이 많으면, 원고가 누구에 의해서 수정되었는지, 그리고 수정된 부분의 적용 여부를 판단해서 원고의 서식에 적용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워드에서 제공하는 기능이 “track change” 기능입니다. ① [메뉴]에서 [검토]를 선택하면 [변경 내용 추적]이라는 도구가 있습니다. 선택하여 기능을 활성화 합니다. ② [변경 내용 추척]이 활성화 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본문의 내용을 수정합니..
학부과정에서는 보고서를 쓸 때 아마도 “한글”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을 것입니다. 하지만 대학원에서는 워드(word)가 훨씬 더 중요하고 90% 이상을 워드로 작업합니다. 왜냐하면, 대학원생에게 가장 중요한 저널논문은 워드를 사용합니다. 학위과정을 시작하고 “한글”에서 워드로 다양한 문서를 작성하는 것은 익숙하지 않을 것이고 자신은 한글을 잘 사용하는데 왜 굳이 워드로 작성해야 하는지 수긍이 안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글의 경우 우리나라에 특화 되어있는 문서 프로그램이고 워드는 전세계에서 사용하고 있는 공용 문서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므로 저널논문을 제출할 때 제출 양식 또한 워드를 기준으로 제시되고, 저널논문 작성시에 연동되어서 사용되는 프로그램들 (mathtype or Endnote) 등도 워드에 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