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tistory1.daumcdn.net/tistory/2920987/skin/images/logo.jpg)
지금까지 대학원 진학을 희망하는 학부생들이 지도교수 및 연구실 선택 시 고려해야할 사항에 대하여 저의 개인적인 경험을 토대로 설명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앞서 언급한 내용들을 파악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할 지에 대해서 설명 드리겠습니다. 결론은 간단합니다. 방학기간을 활용해서 지원하고자하는 연구실에 연구참여 혹은 인턴쉽을 신청하십시오. 연구실 교수님께 메일을 보내면 연구 참여 및 인턴쉽이 가능한지 회신해 주십니다. 자신의 연구실에 관심이 있고 진학 하기 전에 연구실을 경험해보고 싶어하는데 이를 마다할 교수님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연구실 밖의 선배 및 주변사람들 즉 제3자를 통한 정보로 자신의 미래를 선택하기에는 위험부담이 너무 큽니다. 반드시 본인이 직접 연구실을 경험해 보고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방..
대학원 진학 전 지원자들(학부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부분이 전공 분야일 것입니다. 저 역시도 대학원 진학 전에 세부 전공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던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학부 때 유체역학보다 고체역학이나 재료역학 관련 과목에 흥미를 느껴서 대학원도 고체역학이나 재료역학 관련된 연구실로 진학하고자 하였습니다.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박사학위는 유체역학과 관련된 연구로 받게 되었습니다. 자신이 어떠한 분야에 관심이 있고, 잘하는지를 잘 판단해서 지원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석/박사 학위과정을 시작해보면 입학 전에 자신이 생각하던 전공과 상당한 괴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고 전공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아니니 오해는 마시기 바랍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얕은 지식으로 최신 연구 트렌드를 ..